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8

배열(Array)과 반복문 (기본) <생활코딩> 중 의 강의를 발췌 및 정리했습니다. 배열(Array) Array Syntax get 배열은 [로 시작해서 ]로 끝낸다. 여기 안에 값들을 넣는다. 값과 값 사이는 , 로 구분한다. 이렇게 만든 배열을 꺼내올 수 있어야 한다. document.write(coworkers[0]); 이라고 치면 coworkers라는 변수의 배열 중 0번째 값을 출력한다는 뜻이다. add count .lenght는 갯수를 알려주는 명령어이다. 즉, 2가 나와야 한다. 반복문 강의 반복문(Loop) Loop 2020. 3. 11.
리팩토링(refactoring) <생활코딩> 중 의 강의 내용을 발췌 및 정리했습니다. 리팩토링(refactoring) 리팩토링이란? - 코딩을 하다 보면 코드가 비효율적인게 생기기 마련.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하고, 중복된 코드를 낮추는 방향으로 코드를 개선하는 작업을 리팩토링이라고 한다. 앞서서 만들었던 버튼을 화면의 아래에도 넣어준다고 해보자. 그러면 아래의 input코드를, 화면 아래에 또 추가해 주면 된다. 하지만 이럴 경우에는 정확하게 작동하진 않으므로 id값을 night_day에서 night_day2 등으로 바꿔주어야 한다. (id값은 1개여야 하므로) 그러면 버튼을 만약 1억개를 만들어야 한다고 치면 저 코드를 1억번 복사해야 하며, id 값 역시 1억번 고쳐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비효율적인 반복을 막기 위.. 2020. 3. 11.
조건문과 그 활용 <생활코딩> 중 의 내용을 발췌 및 정리 조건문 IF-true ㅇ위의 코드에서 if(true)의 뜻은 document.write("2 ")을 실행시키겠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실제로 나올 때는 IF-true 1 2 4 이렇게 나온다. 하지만 위의 코드를 아래처럼 바꿔보자. IF-false 여기서 if(false)의 뜻은 else로 감싸져 있는 document.write("3 ")을 실행시키겠다는 의미이다. 즉, IF-false 1 3 4 로 출력된다. 즉, if( ) 에서 ( )에는 Boolean의 값이 들어간다. Boolean이 무슨 값이 들어가 있는지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조건문의 활용 WEB 잘 봐야 할 것은 3번째 줄인 if 문이다. document.querySelector('#id')는 앞에서 .. 2020. 3. 9.
비교 연산자와 Boolean 데이터 타입 <생활코딩> 중 에 있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 === 예) 에서 === 은 왼쪽의 값과 오른쪽의 값이 같으냐 라는 의미이다. 위의 경우 참이므로 true 가 출력되고, 아래의 경우 거짓이므로 false가 출력된다. 그리고 여기서 true, false 를 묶어서 Boolean(데이터타입임)이라고 한다. 비교연산자 : 2020.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