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8 제어할 태그 선택하기 <생활코딩> 중 에서 공부한 것을 정리함. 제어할 태그 선택하기 이 시간에서는 웹페이지의 night 버튼을 눌렀을 때는 배경 검은색, 글씨 하얀색으로, day를 눌렀을 땐 배경 하얀색, 글씨 검은색으로 바꿀 수 있게끔 해본다. document.querySelector('.myclass') 위의 명령어는 .myclass라는 클래스 혹은 아이디 혹은 html 태그를 선택할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그 뒤에, .style.XXX 라는 명령어로 명령을 내린다.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 = 'black';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color = 'white'; 2020. 3. 9. 데이터타입(자료형) - 문자열과 숫자 생활코딩에 있던 내용을 정리해 봤습니다. "javascript data type"으로 검색. 결과에서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Data_structures로 들어가자. 그 중 data types를 보면 7개의 타입과 객체(object)가 있다. Number console창에서 1+1을 누르면 바로 2라는 값이 나온다. Number에서 중요한 점은 연산이다. 문자 "하고싶은 말" 혹은 '하고 싶은 말'로 쓰면 된다. 문자는 .명령 으로 쓸 수 있는데, 이러한 명령어(string)은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검색을 통해서 문자를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들을 찾을 수 있다. https://developer.mozilla.org/en-US.. 2020. 3. 8. HTML과 JavaScript의 만남 2 (이벤트) <생활코딩> 중 생활코딩에 있던 강의를 정리한 것입니다. button을 만들고 싶다면 태그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 태그 뒤에는 onclick이라는 속성이 있으며 그 뒤에는 반드시 자바스크립트가 들어와야 한다. alert는 메세지를 띄워주는 명령어이다. 이렇게 html 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사건, 영어로는 event라고 한다. 2020. 3. 7. HTML과 JavaScript의 만남 1 Script 태그 <생활코딩> 중 생활코딩에 있던 강의를 정리해 봤습니다. 안에 html 1+1 이렇게 넣을 경우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html의 경우 1+1을 계산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지만 java의 경우는 계산된 값을 출력해 낸다. 즉 html은 정적이고 java는 동적이다. 중요한 것은 document.write(1+1); 가 어떤 글씨를 출력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것이 자바 스크립트라는 것을 알려 주기 위해 태그를 쓴다. 2020. 3.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