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9 물가에 대해서 <세상 친절한 경제상식> 중 중에서 발췌 및 정리하였습니다. 핵심개념 1. 물가: 물건의 값. 사람들이 지불하는 모든 비용을 종합적이고 평균적으로 보는 개념. 한국은행이 관리한다. 2. 소비자물가지수: 정부에서 관리하는 주요 물가지수로 해마다 조사 대상 품목과 지역을 선정한 후 품목의 가격 동향을 측정해 계산한 것 3. 인플레이션: 화폐가치가 떨어지면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인상되는 현상. 현금을 가진 사람들에게 더 치명적이다. (반대로 실물 자산을 가진 사람에게는 유리하다.) 1. 가계를 위한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 지수 - 약 500개의 대상 품목을 선정한 후 전국 40여개의 도시의 가계에서 해당 품목의 가격 동향을 측정해 그 평균을 낸 것. 즉 ①대상품목이 아닌 것이 가격이 변동되어도 지수에는 변동이 없다. 그리고 ②품목에 따라.. 2020. 3. 25. 금리에 대해서 1 <세상 친절한 경제 상식> 중 중에서 발췌 및 정리하였습니다. 1. 시중금리 및 기준금리의 뜻 - 시중금리: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장에서 결정되는 금리 -> 자동차가 달리는 속도 - 기준금리: 시중 금리를 적절하게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금리 -> 자동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엑셀 및 브레이크 2. 기준금리 인하 = 운전자가 엑셀을 밟은 것과 같음 기준 금리 인하 -> 시중금리 하락 -> 소비/투자 증가 -> 생산/고용 증가 -> 경기 상승 3. 기준금리 인상 =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것과 같음 기준 금리 인상 -> 시중금리 상승 -> 소비/투자 감소 -> 생산/고용 감소 -> 경기 침체 만약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뉴스를 보면 소비를 줄여야 하고, 무엇보다 대출을 줄여야 한다. 대신 예금을 늘려야 하니 현금을 준비한다. 번외:.. 2020. 3. 24. 100만원으로 실전투자 6단계 중 5단계 <직장인, 100만원으로 주식투자하기> 중 중 발췌 및 정리하였습니다. 5단계 캔들 차트 읽기 (기술적 분석) 1. 장대양봉 : 상승 추세 전환의 신호 시가=저기, 종가=고가이며 몸통이 긴 양봉을 장대양봉이라 부른다. 당일 매수세가 아주 강했다는 의미가 된다. 종가=고가인 경우는 장중에 매수하지 못한 투자자들이 시간외로 매수하려고 몰려드는 경우가 많다. 2. 짧은 몸통 vs 긴 몸통 : 몸통의 크기는 힘의 크기 몸통의 크기는 매수세의 크기, 즉 사격 상승의 정도를 나타낸다. 3. 짧은 아래꼬리 vs 긴 아래꼬리 : 꼬리의 길이는 변동성의 크기 양봉의 아래꼬리가 길면 주가가 시가 대비 크게 하락했다가 이후에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즉, 장중 가격 변화가 급격하게 움직였다고 해석된다. 혹은 특정 가격대에서 갑자기 매수세가 출현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2020. 3. 22. 100만원으로 실전투자 6단계 중 4단계 <직장인, 100만원으로 주식투자하기> 중 중에서 발췌 및 정리했습니다. 4단계: 추세, 수급 등 정보 살펴보기 (기술적 분석) 1. 기관, 외국인 매수세를 확인하라. 관심종목의 최근 수급 동향(1개월, 3개월, 6개월 간) 꾸준히 기간 혹은 외인의 순매수가 있는지 살펴보자. 나아가 주포, 매물대, 지지와 저항이 될 만한 가격대를 찾아 표시해 보자. 2. 주포를 확인하라. 주포란 종목의 상승세 혹은 하락세를 이끄는 주체를 의미한다. 보통은 개인투자자보다는 자금력이 있는 기관, 외국인이 주포인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코스피에서는 주포가 외국인이고, 코스닥에서는 기관이다. (전부 다 그런 것은 아니다.) 보조지표 중 "외국인 순매수 누적" "기관 순매수 누적" "개인 순매수 누적"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예를 들어 에스엠의 경우 주가 추이는 기관 누.. 2020. 3. 22. 이전 1 2 3 4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