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친절한 경제 상식> 중에서 발췌 및 정리하였습니다.
1. 시중금리 및 기준금리의 뜻
- 시중금리: 돈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시장에서 결정되는 금리 -> 자동차가 달리는 속도
- 기준금리: 시중 금리를 적절하게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금리 -> 자동차의 속도를 조절하는 엑셀 및 브레이크
2. 기준금리 인하 = 운전자가 엑셀을 밟은 것과 같음
기준 금리 인하 -> 시중금리 하락 -> 소비/투자 증가 -> 생산/고용 증가 -> 경기 상승
3. 기준금리 인상 =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것과 같음
기준 금리 인상 -> 시중금리 상승 -> 소비/투자 감소 -> 생산/고용 감소 -> 경기 침체
만약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뉴스를 보면 소비를 줄여야 하고, 무엇보다 대출을 줄여야 한다. 대신 예금을 늘려야 하니 현금을 준비한다.
번외: 미국의 기준 금리가 오르면?
미국 기준금리 인상 -> 이자를 많이 받으니 미국에 투자(저금)하는 사람들 상승 -> 한국에 투자하던 사람들이 돈을 빼서 미국에 넣는다 -> 한국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줄어드므로 한국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한다 -> 한국 경제의 침체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가에 대해서 <세상 친절한 경제상식> 중 (0) | 2020.03.25 |
---|---|
100만원으로 실전투자 6단계 중 5단계 <직장인, 100만원으로 주식투자하기> 중 (0) | 2020.03.22 |
100만원으로 실전투자 6단계 중 4단계 <직장인, 100만원으로 주식투자하기> 중 (0) | 2020.03.22 |
린지님 재무제표 정복 영상 정리 (0) | 2020.03.18 |
100만원으로 실전투자 6단계 중 3단계 <직장인, 100만원으로 주식투자하기> 중 (0) | 2020.03.12 |